본문 바로가기

HDD.SSD

마이크론 Crucial 크루셜 P1 500GB 리뷰.

안녕하세요. 쿠동입니다. 간만에 마이크론 Crucial P1 500GB를 리뷰해볼까 합니다.

전에 한번 리뷰한적이 있지만 전에는 PC 메인보드에 슬롯이 남지 않아 PCI M.2 카드를 써서 성능이 

기존보다 깎여서 나와 아쉬웟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제대로 PC에 설치하여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아스크텍 마이크론 Crucial P1 M.2 2280 500GB 의 경우 1기가당 146원 73000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제품 박스 외관의 경우 한눈에 보이는 P1이 보이며 용량 및 시리얼등이 보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아스크텍 정품 스티커가 있어 제품을 사용시 제품에 붙여주시면 되겠습니다.

 

제품 개봉시 SSD는 플라스틱에 안전하게 들어가있고 제품 소프트웨어를 다운할 수 있게끔 종이에는 다양한 언어로

링크가 적혀있습니다. 

제품의 외관은 깔끔하며 nvme M.2답게 가볍고 작아 노하드 시스템에 딱 좋을 크기입니다.

마이크론 P1 제품의 경우 3D QLC NAND 기술을 적용하여 셀 하나에 더많은 데이터를 저장이 가능해졌고

약 1,800,000의 총 쓰기용량을 가지고있어 안정적인 내구성을 가졌습니다.

 

제품을 자세히 보니 마이크론 사의  DRAM이 장착된게 확인이 되네요.

제품을 PC장착하기전 정품스티커를 붙여주었습니다.

PC에 장착후 부팅시 바로 내PC에서 확인이 안되기때문에 내PC 우클릭후 관리로 들어가 저장소로 들어가면 파티션이 안잡히 SSD를 우클릭후 단순 볼륨 만들기를 하여야합니다.

 

제대로 인식하네요.

바로 제품 확인. CrystalDiskinfo 로 확인하였습니다. 

그다음 성능테스트를 위해 CrystalDiskmark로 진행하였습니다.

ssd를 비교하기위해 아스크텍 마이크론 제품중 MX500 M.2 제품과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아래는 마이크론 P1 500GB

읽기,쓰기 모두 일반적인 SATA 식 SSD들보다 점수가 훨 높은편이며 읽기의 경우 1900대가 나와주며 SATA SSD들보다 약 3.5배 넘는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쓰기의경우 읽기속도의 비해 낮은편이지만 여전히 SATA SSD보다 약 두배가량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습니다.

아래는 마이크론 MX500 250GB M.2

MX500 의 경우 SSD의 일반적인 속도 측정이 되었습니다.

그다음은 ATTO Disk Benchmark

16kb~512kb는 상당히 잘 나와주는 모습입니다.

MX500의 경우 안정적으로 일반적인 속도를 보여주네요.

AS SSD Benchmark 로 측정한 값입니다.

P1 500GB.

MX500 250GB.

 

다음으로 준비한 속도테스트는 간단하게 약 10기가 되는 여러개의 영상을 SSD에서 SSD로 옮겨 

속도가 얼마나 나오는지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P1제품의 경우 읽기속도가 1900대 이기에 

이보다 더 좋은 SSD를 준비하여 옮기는 속도를 테스트 해봤습니다.

10기가 되는 영상을 옮겼을때

P1:11초

MX500:20 

약 9초가량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으며 상당히 빠르게 느껴져 놀랬습니다. 확실히 nvme M.2 답게 속도는 

다른SSD의 비해 월등하네요.

온도또한 테스트 진행시 약 64도로 그리 높지 않게 측정이 되었습니다. 물론 주변환경의 온도에 따라 SSD온도또한 다르게 측정이 될거 같네요.

총평.

아직까지 QLC라고 한다면 내구성면이 부족한? 인식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QLC가 그런 인식이 있다는건 QLC의 변화가 많이 없었던게 아닐까 싶네요. 

요즘 워낙 게임들이 고용량이다보니 요즘 SSD를 많이들 찿으시고 계실텐데 게임저장용 정도면 딱 안성맞춤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