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DD.SSD

마이크론 Crucial MX500 M.2 2280 아스크텍 (250GB) 필드테스트

안녕하세요. 쿠동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마이크론사의 "마이크론 Crucial MX500 M.2 2280 아스크텍 (250GB)"제품입니다.


스펙.




외관.
제품은 심플하게 포장되어 있습니다.

전면에 보이는 파란 스티커는 아스크텍 에서 유통하는 제품이기에 제품에 부착하여 제품에 이상이 생길 경우
AS를 할때 필요한 스티커이기에 장착 전에 제품에 붙여주시거나 문제가 생길 때 같이 보내주시면 됩니다.
잃어버리시면 안 돼요.


구성품은 SSD M.2,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라는 설명서,나사 입니다

처음 써보는 M.2 인데 크기가 매우 작네요.

후면에는 제품 각종 설명들이 적혀 있습니다.

장착.

요즘 메인보드들은 PCI SATA,M.2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나오는데요 보통은 그래픽카드 PCI 위나 아래에 설치하는 곳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제조사 보드에 M.2 나사 구경에 보시면 작은 나사가 이미 장착되어 있는데요. 풀으셔서 M.2 설치후
M.2길이에 맞게 나사를 조여주시면 되겠습니다.

성능 테스트.

간단 성능 테스트를 해볼 겁니다. 비교는 WD 1TB와 비교 해볼 겁니다.

CrystalDiskinfo 를 M.2 상태를 확인해 봤습니다.
제품 온도 자체가 높은 편임을 보실 수 있으십니다.
제품 풀로드로 돌렸을경우 약 80도 정도가 나왔는데요
요즘 제로 팬 기능이 있는 그래픽카드가 대부분인데 만약 설치를 하게 된다면 더 높게 나올 것으로 보이네요.

그에 비해 하드 디스크는 46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CrystalDiskMark SSD M.2 실행 총 두 번을 실행했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준수하게 성능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CrystalDiskMark HDD WD 1TB 는 하드답게 읽기 쓰기 200MB도 안 되는 성능이 나오네요


저 같은 경우는 압축을 하는 일이 좀 많아서
 가장 간단하면서도 쉽게 속도를 테스트 볼 수 있는 알집 압축 속도를 비교해 보았는데요.
 24기가 영상을 압축하는데
 SSD M.2 시간:3분 53초
 HDD WD 시간 7분
 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총평.
 M.2를 처음 접하면서 느낀 것은 조립에 있어서 외부 선이 필요 없고 깔끔하게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좋았습니다.
 성능 또한 준수하게 나오며 조립 컴퓨터에 추후 용량 부족으로 저장장치를 장착해야 한다면 이렇게 편한 제품은 없을 거 같습니다.